맨위로가기

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은 현재 불가리아에 위치했던 고대 로마 도시이다. 102-106년 사이에 트라야누스 황제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이아트루스강과 로시차강의 합류 지점에 위치하여 다키아 전쟁을 위한 로마군의 주둔지 역할을 했다. 하드리아누스, 안토니누스 피우스, 세베루스 왕조 시대에 번성했으며, 284년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행정 개편 이후 주요 도시로 성장했다. 447년 훈족의 아틸라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7세기 후반 아바르족과 슬라브족에 의해 완전히 멸망했다. 이 도시는 고트족 주교 울필라스가 고트 문자를 창제하고 성경을 고트어로 번역한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0년대 설립 - 판노니아 인페리오르
    판노니아 인페리오는 현재의 헝가리 서부, 오스트리아 동부, 크로아티아 북부, 세르비아 일부 지역에 걸쳐 있던 로마 제국의 속주로, 로마의 통치 하에 군사적 요충지이자 경제, 문화적 발전을 이룬 지역이었다.
  • 불가리아의 옛 취락 - 오이스쿠스
    현재 제공된 정보 부족으로 오이스쿠스가 무엇인지 정의하거나 설명하기 어렵고, 어원, 역사, 주요 유적 등에 대한 추가 정보가 필요하여 페이지 내용을 구성할 수 없습니다.
  • 불가리아의 옛 취락 - 마르키아노폴리스
    마르키아노폴리스는 트라야누스 황제가 누이의 이름을 따 명명한 고대 도시로, 로마 제국의 속주 중심지이자 동로마 제국 임시 수도였으나, 훈족과 아바르족의 침입으로 파괴되어 현재는 유적만 남아있다.
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
그리스어 표기Νικόπολις ἡ πρὸς Ἴστρον
불가리아어 표기Никополис ад Иструм
라틴어 표기Nicopolis ad Istrum
일본어 표기ニコポリス・アド・イストルム
위치 정보
위치불가리아 북부
역사
건설트라야누스 황제
건설 시기서기 101년 – 106년
파괴 시기서기 447년
쇠퇴 시기6세기 말
유적 정보
유형고대 도시
상태유적

2. 역사

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은 트라야누스 황제가 다키아 전쟁에서 록솔라니족을 상대로 승리한 것을 기념하여 102년에서 106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이 도시는 얀트라강(아트루스강)과 로시차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해 있었는데, 이곳은 트라야누스 황제 휘하의 로마군이 101년에서 102년 겨울에 다키아인과 동맹을 맺은 록솔라니족을 공격하기 위해 준비하던 곳이었다.[56][57]

도시의 이름은 트라야누스의 가문 이름(노멘)을 따서 '울피아 니코폴리스'라고 지어졌다. 그러나 130년 이전에 쓰여진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에는 '니코폴리스 아드 하이뭄'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58]

트라야누스는 이 도시가 대도시가 되기를 의도했고, 이는 점차 실현되었다. 도시의 주요 모습은 하드리아누스안토니누스 피우스 시대(138-161)에 나타났으며, 136년 이전의 비문은 발견되지 않았다.

170년에서 171년 사이에 코스토보키족에게 약탈당한 후, 도시 성벽이 세워졌다.[59][60]

세베루스 왕조 시대(193-235)에 도시는 다시 번영하였다. 193년, 니코폴리스는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에게 를 후원했고, 그는 황제가 된 후 도시에 감사의 편지를 보냈다.

212년경부터 '울피아'라는 존칭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는데, 이는 카라칼라가 211-212년에 이곳을 방문한 후 불만을 품은 결과로 여겨진다.[61][62] 카라칼라는 조폐소를 폐쇄하고 도시의 '키비타스 스티펜다리아' 지위와 경제적 번영을 박탈하였다.

250년, 데키우스 황제가 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 전투에서 고트족을 격파했다.[66]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284-305년)의 행정 개편으로 니코폴리스는 더욱 성장하였다. 306년부터 콘스탄티누스 1세 시대에는 아고라 북쪽 지역 건물들이 호레아(창고)로 추정되는 건물들로 대체되었다.[67]

447년, 아틸라훈족에게 공격받아 파괴되었다.[68] 이후 5세기 중엽에 새로운 성벽이 건설되었고, 도시는 원래 크기의 4분의 1로 축소되었다.[70]

초기 비잔틴 시대에 주교좌 중심지가 되었으나, 6세기 말 아바르족과 슬라브족에 의해 파괴되었다. 9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는 소규모 불가리아인 취락이 형성되었다.[73]

4세기에는 고트족 주교 울필라스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의 허가를 받아 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 근처에 정착하여 고트 문자를 고안하고 성경고트어로 번역하였다.[51][52][53]

2. 1. 초기 역사 (102년 ~ 250년)

발굴된 지역과 도시 남쪽을 나타내는 니코폴리스 지도


도시의 북문


도심 거리


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은 이아트루스 강(얀트라강)과 로시차강의 합류 지점에 위치해 있었는데, 이곳은 트라야누스 황제 휘하의 로마군들이 다뉴브 지역 북쪽에 있고 다키아인들과 동맹이던 록솔라니족을 공격하기 위해 준비하도록 101-102년 겨울에 모였던 곳이었다.[56][57]

다키아 전쟁에서 록솔라니족에 대한 승리 및 이후 105년의 승리를 기념한 트라야누스 원주의 39번째 장면에 나타나 있고, 트라야누스의 가문명 즉 노멘을 사용하며 그를 기념한 울피아 니코폴리스 (Ulpia Nicopolis)에서 나타나듯이 이 도시는 102-106년 무렵에 트라야누스가 세웠다. 그렇지만 '니코폴리스 아드 하이뭄'(Nicopolis ad Haemum)이라는 명칭이 서기 130년 이전에 쓰인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에서 사용되었다.[58]

트라야누스는 니코폴리스가 대도시가 되도록 분명히 의도하였고, 이는 점차 실현되었다. 그럼에도 이곳의 눈에 띄는 모습은 주로 하드리아누스안토니누스 피우스 시기 (138-161)였으며 발견된 비문들은 '울피아 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라는 이름이 사용된 때인 136년보다 이른 시기의 것들이 없었다. 새로 지어진 아고라에는 뛰어난 회랑과 용도가 알려져 있지 않은 사치스러운 홀이 있었다.

니코폴리스는 170-171년쯤에 오늘날 우크라이나 서부에 살던 부족인 코스토보키족들에게 약탈되었으며,[59] 이 직후에 도시의 성벽이 세워졌다.[60] 많은 건물들이 이 당시에 성벽에 둘러싸인 지역에 속하지 않았다.

세베루스 왕조 시기 (193-235)인 2세기와 3세기에 다시 번영하였다. 193년에 니코폴리스는 당시 황제 자리를 두고 경쟁하던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에게 700000USD를 후원하였고, 그가 황제로 즉위한 뒤 황제가 도시에 보낸 감사의 편지의 사본이 한 비문에 기록되어 있다. 그는 그 후에 이곳을 몇 차례 방문했다.

대략 212년부터 존칭인 '울피아'가 더 이상 공공 비문에 사용되지 않았는데, 이는 카라칼라가 211-212년에 이곳을 방문하고 난 뒤,[61] 언짢음의 결과라고 여겨진다.[62] 카라칼라는 니코폴리스의 조폐소를 폐쇄하고 이곳의 경제적 번영뿐만 아니라 '키비타스 스티펜다리아'라는 지위도 박탈하였다. 카라칼라 사후, 니코폴리스는 신임 황제를 위한 경기들을 펼쳤는데 이에 대한 결과로, 비록 이름을 완전히 되찾은 것은 아니지만, 이곳의 공공시설 모습이 새겨진 주화들을 발행하며,[63] 키비타스 지위를 되찾고 조폐소를 다시 연 것으로 보인다.[64][65]

250년에 도시 인근에서, 데키우스 황제가 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 전투에서 크니바가 이끄는 고트족들을 격퇴해냈다.[66]

2. 2. 번영과 쇠퇴 (193년 ~ 447년)



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은 101년-2년 겨울, 트라야누스 황제 휘하의 로마군이 다키아인과 동맹을 맺은 록솔라니족을 공격하기 위해 얀트라강(아트루스강)과 로시차강의 합류 지점에 모였던 곳에 위치해 있었다.[56][57]

트라야누스 원주의 39번째 장면에 묘사된 트라야누스의 다키아 전쟁에서 록솔라니족에 대한 승리와 105년의 승리를 기념하여, 트라야누스는 102-106년경 이 도시를 세웠다. 도시 이름은 트라야누스의 가문명인 노멘을 사용하여 '울피아 니코폴리스'로 명명되었다. 그러나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에서는 130년 이전에 '니코폴리스 아드 하이뭄'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58]

트라야누스는 니코폴리스가 대도시가 되기를 의도했고, 이는 점차 실현되었다. 이곳의 눈에 띄는 모습은 주로 하드리아누스안토니누스 피우스 시기(138-161)에 나타났으며, 발견된 비문들은 136년 이전의 것이 없었다. 새로 지어진 아고라에는 뛰어난 회랑과 용도가 알려지지 않은 사치스러운 홀이 있었다.

170년-1년경, 니코폴리스는 오늘날 우크라이나 서부에 살던 코스토보키족에게 약탈당했으며,[59] 이 직후 도시의 성벽이 세워졌다.[60] 이 당시 많은 건물들이 성벽으로 둘러싸인 지역에 포함되지 않았다.

세베루스 왕조 시기(193-235)인 2, 3세기에 니코폴리스는 다시 번영하였다. 193년, 니코폴리스는 당시 황제 자리를 두고 경쟁하던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에게 를 후원하였고, 그가 황제로 즉위한 뒤 도시에 보낸 감사의 편지 사본이 한 비문에 기록되어 있다. 그는 그 후 이곳을 몇 차례 방문했다.

212년경부터 '울피아'라는 존칭은 더 이상 공공 비문에 사용되지 않았는데, 이는 카라칼라가 211-212년에 이곳을 방문하고 난 뒤,[61] 불만을 느낀 결과로 여겨진다.[62] 카라칼라는 니코폴리스의 조폐소를 폐쇄하고 '키비타스 스티펜다리아' 지위와 경제적 번영을 박탈하였다. 카라칼라 사후, 니코폴리스는 신임 황제를 위한 경기들을 개최했고, 그 결과 비록 이름을 완전히 되찾은 것은 아니지만, 이곳의 공공시설 모습이 새겨진 주화를 발행하며,[63] 키비타스 지위를 되찾고 조폐소를 다시 연 것으로 보인다.[64][65]

250년, 도시 인근에서 데키우스 황제가 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 전투에서 크니바가 이끄는 고트족을 격퇴했다.[66]

니코폴리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284-305년)의 행정 개편으로 주요 도시 중심지로 더욱 성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소한 아고라의 북쪽 지역은 3세기 동안 손상되었다.

콘스탄티누스 1세 때인 306년부터 아고라 북쪽 지역 건물들의 큰 기둥들은 세 개의 통로로 나뉜 오푸스 믹스툼식 석재 건물 두 채로 대체되었는데, 이 건물들은 다른 인근 도시들(트로파이움, 잘다파)이 같은 시기에 바실리카보다는 호레아(창고)를 받은 것을 고려하면 호레아였을 수 있다.[67] 이 호레아는 3세기 말과 4세기 초에 아주 많은 수의 호레아가 건설된 것에 도움을 받은, 다뉴브 방면 주둔군을 위한 보급 체계의 일부였을 것이다.

447년, 아틸라훈족에게 공격받아 니코폴리스는 파괴되었다.[68] 아마 이곳은 5세기 초 이전에 이미 버려진 것으로 보인다.[69]

5세기 중엽, 훈족의 침입 이후 새로운 높고 튼튼한 성벽이 구 도심의 남쪽 성벽과 인접하는 지점에 지어졌다.[69] 옛 성벽의 상태가 나빠 보수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1.8km에 이르는 상당한 성벽 길이는 가능한 것보다 많은 수비 병력을 필요로 했다. 신 도시는 이 당시 다뉴브 일대의 도시들에서 흔한 경향을 따라, 군사 시설과 교회 건물만을 포함하는 등 본래 도시의 4분의 1 크기만을 차지하였다.[70] 고전기 니코폴리스의 방대한 폐허 지역(21.55 헥타르)은 다시 사람들이 살지 않았다. 구 도시의 남쪽 성벽은 신 도시의 북쪽 성벽으로 개조되었다. 탑은 버려지고 파괴된 건물들 위에 지어졌고, 버려진 건물들 정면의 장식된 석재 블록들은 새로운 건축물들에 사용되었다. 탑들은 10m 높이의 성벽에 있는 15m 높이였다. 성벽의 외면은 커다란 돌덩어리를 흉내내는 새겨진 홈들과 함께 모르타르가 발라져 있었다. 구 도시 남쪽 문은 이 문이 움푹 패인 곳에 있었기에 주변의 높은 지역을 메우기 위한 대대적인 개축을 거쳤다.[71]

2. 3. 재건과 멸망 (5세기 ~ 7세기)

447년, 아틸라가 이끄는 훈족의 공격으로 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은 파괴되었다.[68] 5세기 초 이전에 이미 도시가 버려졌을 가능성도 제기된다.[69]

5세기 중엽, 훈족의 침입 이후 옛 도시의 남쪽 성벽에 인접하여 새롭고 튼튼한 성벽이 건설되었다.[69] 옛 성벽은 상태가 좋지 않아 보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1.8km에 달하는 긴 성벽은 충분한 수비 병력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새로운 도시는 원래 도시 면적의 4분의 1에 불과했으며, 군사 시설과 교회 건물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당시 다뉴브 지역 도시들의 일반적인 경향을 따랐다.[70] 고전기 니코폴리스의 넓은 폐허 지역(21.55 헥타르)은 다시 사람이 살지 않게 되었다. 옛 도시의 남쪽 성벽은 신도시의 북쪽 성벽으로 개조되었다. 버려진 건물 위에 탑이 건설되었고, 건물 정면의 장식된 석재 블록들은 새로운 건축물에 사용되었다. 탑들은 10m 높이의 성벽에서 15m 높이로 솟아 있었다. 성벽 외면은 커다란 돌덩어리를 모방한 홈이 새겨진 모르타르로 마감되었다. 옛 도시의 남쪽 문은 움푹 패인 곳에 위치했기 때문에 주변의 높은 지역을 메우기 위한 대대적인 개축을 거쳤다.[71]

초기 비잔틴 시대에 니코폴리스는 주교좌 중심지가 되었다. 초기 주교로는 마르켈루스(451년)와 아만티우스(518년)가 알려져 있다.[72]

아바르–비잔티움 전쟁 중이던 6세기 말, 아바르족과 슬라브족에 의해 파괴되었다. 이후 9세기에서 14세기 사이, 폐허 위에 소규모 불가리아인 취락이 형성되었다.[73]

2. 4. 울필라스와 고트어 성경 번역

울필라스는 4세기 고트족 주교이자 선교사이며 번역가였다. 347년-348년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에게 개종자들을 이끌고 모에시아로 이주하여 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 근처에 정착할 수 있도록 허가를 받았다.[51] 그는 고트 문자를 고안하고, 학자들과 함께 그리스어에서 고트어성경을 번역하는 작업을 감독하였다.[52][53] 이 때문에 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은 게르만 문학의 발생지라고 할 수 있다.

3. 도시 구조

니코폴리스는 직교계를 따라 구성되었다. 가로망, 이오니아식 콜로네이드 및 여러 건물들로 둘러싸인 포룸, 후대에 바실리카로 변한 이중 네이브 구조의 구조물, 그 외 공공 시설들이 발견되었다. 이곳의 화려한 구조물과 조각 등은 소아시아 지역의 고대 도시들과 유사성을 보여준다.

도시는 크게 북쪽의 요새 부분과 남동쪽의 작은 요새 부분으로 나뉘며, 바둑판식 설계에 따라 건설되었다. 도시 중심부를 동서로 관통하는 간선 도로인 데쿠마누스 막시무스와 남북으로 관통하는 카르도 막시무스가 교차하는 전형적인 로마 시대의 사각형 배치를 따랐다.

도시의 성벽은 사각형 시가지 구역을 둘러쌌고, 양쪽에 성문(Porta)이 있었다. 4개의 성문 중 서쪽 성문은 정문으로, 2개의 문이 서로 뒤에 이어지는 구조였다. 문 바깥쪽에는 2개의 덧문이, 안쪽에는 낙하문(Cataracta)이 있었다. 도시 북쪽에는 도자기 공방이 있었다.

3. 1. 아고라

아고라에는 말을 탄 트라야누스 조각상, 다른 대리석 조각상, 이오니아식 기둥이 있었다.[77] 사람들은 주변 거리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아고라에 모였다. 광장 주변에는 불레우테리온(의사당)으로 추정되는 건물이 있었다.

아고라 주변 시설
명칭설명
불레우테리온아고라 북서쪽에 위치, 의사당으로 추정
소규모 오데온400석 규모의 실내 극장, 남서쪽에 위치. 방사형으로 배열된 구역으로 나뉨.
테르모페리아토스상점, 산책, 비즈니스 미팅을 위한 밀폐 공간을 갖춘 독특한 로마 건축물. 인술라 하나 전체를 차지, 콤모두스 때인 184-5년에 지어짐. 4세기에 폐허가 되고 그 위에 다른 건물이 지어짐.[77]
공중 화장실거리에서 발견
티케 신전포룸 단지 남서쪽 가장자리의 작은 광장에 위치, 데모스테네스가 쓴 경구가 고대 그리스어로 쓰인 금석문 발견.[80]
하고라노모스 및 쿠룰레 아이딜레 거처2015년에 발견된 거대한 건물 잔해, 상업 및 시장 경영 담당 공무원의 거처였을 것으로 추정.[78]



아고라 중앙 도로는 거대한 덮개돌로 포장되었고, 점검용 맨홀이 있는 하수도와 증기 난방이 되는 야외 보도가 있었다. 이 길을 따라 이국적인 식물이 재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불가리아에서 유일하게 심장 모양 단면의 기둥이 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에서 발견되었다.

3. 2. 테르모페리아토스

니코폴리스에는 3중 네이브 구조의 바실리카 한 채, 불레우테리온 한 곳, 키벨레 신전 한 곳, 소규모 오데온, 공중목욕탕, 그리고 상점, 산책 및 비즈니스 미팅을 위한 밀폐 공간을 갖춘 테르모페리아토스(termoperiatos)라 불리는 독특한 로마 건축물이 있었다. 테르모페리아토스는 로마 제국의 모든 도시 중 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에서만 확인되었다.[77] 인술라 하나 전체를 차지했으며, 콤모두스 재위 기간인 184-5년에 이전 건물 폐허 위에 지어졌다. 교역 용도로 사용되었고 상점이 있었으며, 4세기에 폐허가 되어 그 위에 다른 건물이 지어졌다.[25]

3. 3. 수도 시설

니코폴리스는 세 개의 송수로와 여러 개의 우물에서 물을 공급받았으며, 이 시설들의 상당수는 고고학 발굴을 통해 발견되었다. 25km 길이의 서쪽 송수로에는 로시차강 유역 전체에 물을 실어 나르는 길이 약 3km, 높이 약 20m의 수도교가 있었다.[77] 2세기경 니코폴리스의 급수장은 도시 서쪽에 위치한 무시나 마을 근처에 있었으며, 이곳에서는 여전히 카르스트 샘의 물을 무시나 동굴로 모으고 있다. 도시 서쪽에는 castellum aquaela라 불리는 커다란 송수로가 있었다.

4. 고고학

니코폴리스는 직교 체계를 따라 구성되었다. 가로망, 이오니아식 콜로네이드와 여러 건물들로 둘러싸인 포룸, 후대에 바실리카로 변한 이중 네이브 구조물, 그 외 공공 시설들이 발견되었다. 이곳의 화려한 구조물과 조각 등은 소아시아 지역의 고대 도시들과 유사성을 보여준다.

아고라에는 말을 탄 트라야누스 조각상뿐만 아니라 다른 대리석상과 이오니아식 콜로네이드가 있었다. 또한 니코폴리스에는 3중 네이브 구조의 바실리카, 불레우테리온, 키벨레 신전, 소규모 오데온, 공중목욕탕, 그리고 상점, 산책 및 비즈니스 미팅을 위한 밀폐 공간을 갖춘 테르모페리아토스(termoperiatos)라 불리는 독특한 로마 건축물 등이 있었다. 도시의 몇몇 주택과 건물도 발굴되었다.

테르모페리아토스는 로마 제국의 모든 도시 중 니코폴리스 아드 이스트룸에서만 확인된 독특한 공공시설이다. 인술라 하나 전체를 차지했고 콤모두스 재위 기간인 184-5년에 이전 건물의 폐허 위에 지어졌다. 교역 용도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상점이 있었다. 4세기에 폐허가 된 후 그 위에 다른 건물이 지어졌다.

니코폴리스는 세 개의 송수로에서 물을 공급받았고 몇 개의 우물도 존재했으며, 이 시설들의 많은 수가 고고학 발굴에서 발견되었다. 25km 길이의 서쪽 송수로에는 로시차강 유역 전체에 물을 실어 나르는 길이 3km, 높이 20m에 달하는 교량이 있었다.[77] 2세기경 니코폴리스의 급수장은 도시 서쪽에 위치한 무시나 근처에 있었으며, 이곳에서는 여전히 카르스트 샘물을 무시나 동굴로 모으고 있다. 카스텔룸 아콰이(castellum aquae)라 불리는 이 커다란 송수로는 도시 서쪽에 위치했다.

수도교 수원 팔각형 집수조


수도교 지하 수원


2015년에는 거대한 건물 잔해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 도시에서 상업 및 시장 경영을 관장하는 공무원인 아고라노모스 및 쿠룰레 아이딜레의 거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78]

니코폴리스 출신 귀족 퀸투스 율리우스의 높이 14m짜리 오벨리스크가 도시에서 서쪽 12km 거리인 레시체리 근교에 있다.[79]

많은 발견물이 벨리코터르노보 주립 역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2018년 고고학자들은 포럼 단지 남서쪽 가장자리의 작은 광장에서 여신 티케에게 헌정된 신전 하나와 데모스테네스가 쓴 경구가 고대 그리스어로 쓰인 금석문을 발견했다.[80]

5. 사진첩


  • -|]]|]]|]]

참조

[1] 웹사이트 Nikopol - variant names http://thesaurus.cer[...]
[2] 서적 A System of Geography, Ancient and Modern https://books.google[...] Hill 1812
[3] 문서 Никюп and Nikjup
[4] 간행물 MOESICA ET CHRISTIANA, Studies in Honour of Professor Alexandru Barnea Edited by Adriana Panaite, Romeo Cîrjan and Carol Căpiţă Muzeul Brăilei
[5] 문서 Ammianus Marcellinus. 31.5.16
[6] 서적 La Colonna Traiana Roma 1999
[7] 논문 Note on the Name of Nicopolis ad Istrum https://doi.org/10.1[...] 2022-09-01
[8] 웹사이트 Archaeologists Impressed with Ancient Water Catchment Reservoir Which Fed 20-km-Long Aqueduct of Major Roman City Nicopolis ad Istrum in North Bulgaria http://archaeologyin[...] 2022-09-01
[9] 논문 "On Nicopolis AD Istrum and Her Territory." http://www.jstor.org[...] 2007
[10] 서적 The Eastern Roman Empire under the Severans: Old Connections, new Beginnings? Vandenhoeck & Ruprecht
[11] 논문 "Ulpia Nicopolis ad Istrum and Claudia Leucas: two examples with drawn peregrine city-titles" https://www.research[...] 2022-09-01
[12] 서적 Lower Moesia and Thrace in the Roman Imperial System (A.D. 193-217/218) Sofia 1997
[13] 서적 The Ancient Coins of the Balkan Peninsula and the Coins of the Bulgarian Kings. Sofia, 1281. 1912
[14] 논문 “Donnés numismatiques pour des compétitions sportives en Thrace romaine.” 1994
[15] 서적 The Cambridge Medieval History CUP Archive 1957
[16] 간행물 Jahrbuch des Römisch-Germanischen Zentralmuseums Mainz 60. Jahrgang 2013
[17] 문서 Burns (1994), 38
[18] 문서 Curta (2001), pg. 158.
[19] 문서 Liebeschuetz (2001), pg. 77
[20] 서적 Ulpia Nicopolis ad Istrum ~ Cultural and Historical Heritage Library Slavena Publishing House, Varna 2009
[21] 서적 Illyricum Sacrum https://archive.org/[...] Venice 1819
[22] 문서 Burns (1994), pg. 37
[23] 서적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A New History of Rome and the Barbarian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4] 논문 Greek ἀρχιερεύς in Gothic translation: Linguistics and theology at a crossroads https://benjamins.co[...] 2018
[25] 서적 “The Aqueducts in the Bulgarian Lands, 2nd-4th century AD”
[26] 웹사이트 Archaeologists Unearth Huge Agoranomus's Building in Ancient Roman City Nicopolis ad Istrum near Bulgaria's Nikyup http://archaeologyin[...] 2016-01-27
[27] 웹사이트 Archaeologists Seek to Restart Excavations of Ancient Roman Obelisk from Late Antiquity Mausoleum near Bulgaria's Lesicheri http://archaeologyin[...] 2016-04-08
[28] 웹사이트 ALTAR OF DESTINY GODDESS TYCHE WITH DEMOSTHENES EPIGRAM INSCRIPTION FOUND IN ANCIENT ROMAN CITY NICOPOLIS AD ISTRUM IN BULGARIA http://archaeologyin[...] 2018-11-12
[29] 웹사이트 Nikopol - variant names http://thesaurus.cer[...]
[30] 서적 A System of Geography, Ancient and Modern https://books.google[...] Hill 1812
[31] 논문 On Nicopolis ad Istrum and her territory 2007
[32] 기타 Encyclopédie théologique. https://books.google[...] Paris 1848
[33] 문서 Ammianus Marcellinus. 3.5.16
[34] 웹사이트 UNESCO.ORG
[35] 웹사이트 Archaeologists Impressed with Ancient Water Catchment Reservoir Which Fed 20-km-Long Aqueduct of Major Roman City Nicopolis ad Istrum in North Bulgaria http://archaeologyin[...]
[36] 서적 Lower Moesia and Thrace in the Roman Imperial System (A.D. 193-217/218) Sofia 1997
[37] 간행물 Ulpia Nicopolis ad Istrum and Claudia Leucas: two examples with drawn peregrine city-titles https://www.research[...] 2007
[38] 서적 The Ancient Coins of the Balkan Peninsula and the Coins of the Bulgarian Kings Sofia 1912
[39] 논문 “Donnés numismatiques pour des compétitions sportives en Thrace romaine.” Arheologija 3-4: 6-18, 16 1994
[40] 서적 The Cambridge Medieval History CUP Archive 1957
[41] 문서 1994
[42] 문서 2001
[43] 문서 2001
[44] 서적 Ulpia Nicopolis ad Istrum ~ Cultural and Historical Heritage Library Slavena Publishing House, Varna 2009
[45] 웹사이트 UNESCO.ORG
[46] 서적 Illyricum Sacrum https://books.google[...] 1819
[47] 뉴스 ‘Condemned’ Bronze Head of Roman Emperor Gordian III from Nicopolis ad Istrum to Be Showcased by Bulgaria’s Veliko Tarnovo http://archaeologyin[...] 2016-03-18
[48] 웹사이트 http://archaeologyin[...] 2016-04-08
[49] 웹사이트 ALTAR OF DESTINY GODDESS TYCHE WITH DEMOSTHENES EPIGRAM INSCRIPTION FOUND IN ANCIENT ROMAN CITY NICOPOLIS AD ISTRUM IN BULGARIA http://archaeologyin[...] 2018-09-15
[50] 서적 “The Aqueducts in the Bulgarian Lands, 2nd-4th century AD”
[51] 문서 1994
[52] 서적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A New History of Rome and the Barbarian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53] 논문 Greek ἀρχιερεύς in Gothic translation: Linguistics and theology at a crossroads https://benjamins.co[...] 2018
[54] 웹사이트 Nikopol - variant names http://thesaurus.cer[...]
[55] 서적 A System of Geography, Ancient and Modern https://books.google[...] Hill 1812
[56] 논문 About the Roman frontier on the Lower Danube under Trajan, MOESICA ET CHRISTIANA, Studies in Honour of Professor Alexandru Barnea Edited by Adriana Panaite, Romeo Cîrjan and Carol Căpiţă Muzeul Brăilei
[57] 문서 unknown
[58] 논문 A Note on the Name of Nicopolis ad Istrum https://doi.org/10.1[...] 2018
[59] 웹인용 Archaeologists Impressed with Ancient Water Catchment Reservoir Which Fed 20-km-Long Aqueduct of Major Roman City Nicopolis ad Istrum in North Bulgaria http://archaeologyin[...] 2021-04-29
[60] 논문 "On Nicopolis AD Istrum and Her Territory." www.jstor.org/stable[...] 2007
[61] 서적 Lower Moesia and Thrace in the Roman Imperial System (A.D. 193-217/218) Sofia 1997
[62] 간행물 Ulpia Nicopolis ad Istrum and Claudia Leucas: two examples with drawn peregrine city-titles https://www.research[...] 2007
[63] 웹사이트 UNESCO.ORG
[64] 서적 The Ancient Coins of the Balkan Peninsula and the Coins of the Bulgarian Kings Sofia 1912
[65] 논문 “Donnés numismatiques pour des compétitions sportives en Thrace romaine.” Arheologija 3-4: 6-18, 16 1994
[66] 서적 The Cambridge Medieval History CUP Archive 1957
[67] 논문 Centres of the late roman military supply network in the Balkans: a survey of horrea 2013
[68] 문서 1994
[69] 문서 2001
[70] 문서 2001
[71] 서적 Ulpia Nicopolis ad Istrum ~ Cultural and Historical Heritage Library Slavena Publishing House, Varna 2009
[72] 웹사이트 Illyricum Sacrum https://archive.org/[...] 1819
[73] 웹사이트 UNESCO.ORG
[74] 문서 1994
[75] 서적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A New History of Rome and the Barbarian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76] 저널 Greek ἀρχιερεύς in Gothic translation: Linguistics and theology at a crossroads https://benjamins.co[...] 2018
[77] 서적 The Aqueducts in the Bulgarian Lands, 2nd-4th century AD
[7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archaeologyin[...] 2021-02-28
[7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archaeologyin[...] 2021-02-28
[80] 웹인용 ALTAR OF DESTINY GODDESS TYCHE WITH DEMOSTHENES EPIGRAM INSCRIPTION FOUND IN ANCIENT ROMAN CITY NICOPOLIS AD ISTRUM IN BULGARIA http://archaeologyin[...] 2021-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